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플라스틱 재활용 숫자코드 정리

by 향긋한커피 2021. 3. 30.
728x90
반응형

요즘은 해외직구도 너무나 쉬운 세상입니다. 다양한 물건을 배송받고 분리수거를 할 때 세모꼴 표시에 숫자가 새겨져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모두 플라스틱처럼 보여 분리배출을 하고 싶지만 숫자에 따라 분리배출이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1번 재활용 불가능

1번은 페트입니다. PETE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지만 PET와 같습니다. 페트는 재활용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물병에 국한 됩니다. 일반 용기에 쓰이는 색이 있고 단단한 페트는 PET표시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화학물이 첨가된 PET입니다. 이러한 PET는 어떤 화학물이 들어있는지 알 수가 없어서 국내에서는 대부분 선별을 피합니다. 음료수가 아닌 이상 해외직구 페트는 대부분 재활용이 어렵다고 봐야 합니다.

 

 

 

2번 4번 폴리에틸렌 재활용 가능

2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4번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입니다. 2번은 영양제나 세제를 담는 용기로 쓰이고 4번은 비닐봉지로 쓰입니다. 2번과 4번 모두 같은 재질이고 재활용이 잘 되는 플라스틱입니다.

 

 

 

 

 

 

5번 6번 재활용 가능

PP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전자레인지 밀폐용기로 많이 사용됩니다. 6번은 폴리스티렌으로 PE, PP 보다 선호도가 떨어지지만 분리 배출이 가능한 재질입니다.

 

 

 

3번 7번 재활용 불가능

3번은 폴리염화비닐입니다. PVC는 신용카드나 휴대폰 케이스 등 생활용품에 자주 쓰이는 재질이지만 현재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염소 함유량이 높아 따로 분류해 염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국내 업체 대부분은 별도 공정이 없습니다. 오히려 다른 플라스틱과 섞이면 재활용을 방해하는 상황이라 페트병만 따로 분리 수거를 하는 이유가 이것 때문입니다. 참고로 환경부가 2019년 말 포장재에 PVC 사용을 금지 했지만 해외 제품 수입이 금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매시 피하거나 일반쓰레기로 분리 배출해야 합니다. 

 

7번은 Other로 1개 이상의 플라스틱이 혼합되었거나 1~6번 외 다른 재질이 사용된 경우입니다. 정확한 재질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