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이제는 일상이 되어 버려서 그런지 코로나 감염에 대해서 많이 둔감해 진 것은 사실입니다. 백신도 나와서 많이 안심하는 분위기지만 사실 인도 변이바이러스는 백신도 안 먹히기 때문에 인도 변이바이러스가 다시 유행이 된다면 또 다시 재앙이 불어오게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인도는 아수라장입니다. 인도 변이바이러스는 WHO가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에 이어 우려 변이로 지정한 바이러스입니다.
인도 변이바이러스 국내 첫 발생
이번 인도 변이바이러스 감염자는 8명이고 인천국제공항 검역소에서 확인됐으며 이들 중 일부는 해외 입국자를 관리하는 업무를 하던 중 노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첫 사례인데다 이미 2차 전파까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어 검역 업무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18일 인천공항 검역소 관련 확진자는 총15명이고 이들 중 8명이 인도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었습니다. 변이 감염자와의 접촉력 등을 고려할 때 사실상 인도 변이바이러스 감염된 것으로 간주되는 역학적 관련 사례 7명을 포함하면 15명 모두 인도 변이바이러스 감연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들 모두 "인도 변이" 사례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15명을 구분해보면 검역소 격리시설 관련 근무자가 9명이고 가족1명 지인1명 기타 사례가 4명입니다. 기타사례는 검역소 종사자들의 동료지만 격리시설에서는 근무하지 않는 확인자들입니다.
인천공항에서 해외 입국자를 관리하고 격리 치료를 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종사자들이 감염됐고, 이들에게서 직접적으로 입국자를 관리하지 않는 사람에게로 소규모로 2차 전차가 있었다고 방대본은 설명했으며 해외 입국자 중 인도변이 확정 사례가 1명이 아니였기 때문에 선행 감염자는 특정할 수 없다고 전했습니다.
방대본은 해외입국 관련사례는 현재 유행이 종료됐기 때문에 추가 감염자가 나올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해외입국 후 검역소 관할 시설에서 격리 치료받게 될 해외 입국 사례는 향후 늘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중 변이로 불리는 바이러스로 한국에서 감염자는 총87명으고 해외유입이 79명이고 국내감염이 8명입니다.
인도 변이바이러스 위험성
전문가들은 특히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발 변이바이러스는 백신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바이러스 확산을 최대한 막아야 하고 입국 제한 조치 등으로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인도 변이바이러스의 유입을 봉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영국발 변이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하지만 남아공, 브라질 변이는 화이자 백신 접종 시 중화항체 생성 능력이 6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인도 변이는 남아공과 미국 캘리포니아 변이 2개가 붙어있는 형태라 가장 위험합니다. 국내에 들어왔을 땐 우리나라도 인도 같은 상황이 되지 않으리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영국 변이는 중증도나 백신 효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남아공, 브라질 변이처럼 백신효과가 떨어지는 변이에 대한 대응 방식이 문제입니다. 결국 유입차단이 제일 중요한 문제라고 봅니다. 변이 감염에 대한 대응은 방역 수칙을 잘 지키고 빠르게 접종을 받고, 사회적거리두기를 유지하는 방법외에는 해결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