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글

탈레반이 아프간을 점령할 수 있었던 이유

by 향긋한커피 2021. 8. 20.
728x90
반응형

탈레반은 이슬람 무장조직입니다. 아프칸 주요 거점 도시들을 점령한 뒤 열흘만에 아프칸 정부의 항복을 받아냈고 수도 카불에도 무혈입성을 했습니다. 탈레반의 협박 전술이 미국도 예측하지 못할 만큼 빠른 속도로 아프간을 장악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발단

지난 4월 미국의 아프간 주둔 미군의 철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유지되어 온 아프간 정부군 내부에서 분열이 생기게 됩니다. 이후 탈레반은 정부군에 대해 대대적인 회유 작전을 펼치게 됩니다. 탈렌반은 정부군에 몰래 접촉해 돈을 포함한 인센티브를 통해 항복하거나 편을 바꿀 기회를 줬다고 합니다.

 

이런 방법이 통하지 않으면 '항복하지 않으면 우리가 죽일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합니다. 지역 정부군은 대항하지 못했고 기지2곳과 전조지역 3곳을 탈레반이 먹게 됩니다.

 

정분군이 잇달아 투항하면서 탈레반은 미국이 아프간 전쟁 시작 후 20년간 지원해온 막대한 양의 최첨단 군사 물품을 손쉽게 획득하게 됩니다. 영상으로도 있죠. 칸다하르 공항에서 아프간군 블랙호크가 서 있고 탈레반 대원이 그 주변을 감시하는 영상이요.

 

 

 

확장

회유책으로 승기를 잡은 탈레반은 지역을 넓혀갑니다. 4월 13일 아프간 전역 400구역 중 77개 구역을 통제했고 6월 16일에는 장악 구역이 104개로 크게 늘어납니다. 8월 3일에는 두 배 이상 증가한 223개를 기록하게 됩니다.

 

전략

탈레반은 뿌리 깊은 아프간 정부의 부패도 활용합니다. 탈레반은 정부군을 항복시키기 위해 부패하고 무능한 정부에 대한 분노를 활용했는데요. 소셜미디어를 통해 정부의 부패를 강조하고 탈레반이 이슬람 통치를 회복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퍼트린 것이죠.

 

탈레반은 수년간 페이스북과 유튜브 등을 통해 정부 부패를 고발하면서 팔로워 5만여 명에 달합니다. 아프간인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인종, 종교, 이념적 차이 등을 총동원 한 것이죠. 

 


 

이것이 마냥 남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미국철수를 원하고 있죠. 현 정부가 말이죠. 우리 군으로도 북한쯤은 충분히 제압할 수 있다라는 것인데...핵이란 강력한 무기가 있긴 하지만 이건 뭐 다 같이 죽자는 것이니 북한도 쉽게 쓸 수 없는 무기라고 하더라도 미군 철수는 외국인 투자에 매우 불리하다고 봅니다. 경제에 큰 위가가 생길 수 있는 것이죠. 아프간도 미군 철수로 시작되어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생각합니다. 미군 철수에 대해서 조금 신중한 선택을 했음 하는 바람입니다.

반응형

댓글